본문 바로가기

일반 상식5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 흔히 정치 이야기를 하다보면,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이나 정치인의 행보는 바르고 좋게 평가하는 반면, 그 반대편 입장에 대해서는 무시하거나 틀렸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혹은, 주식시장의 상승장에서는 자신의 주식이 앞으로 오를 것이라고 여기며 긍정적인 자료나 정보만을 받아들이고, 그 주식이 하락할 때에는 부정적인 정보 위주로 습득하여 상승가치가 충분히 있음에도 손해를 보고 팔기도 한다. 이렇듯, 사람들이 자신의 신념이나 생각과 일치하는 상황 또는 정보만을 받아들이고 그것과 반대되는 것에 대해서는 무시하거나 축소하는 인지적 편향심리를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myside bias)이라고 한다. 확증편향은 어떤 분야의 전문가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 2021. 7. 29.
메타인지(metacognition) 너 자신을 알라 - 그리스 격언 자신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누군가에게 설명해보라고 하면 제대로 대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지식에 대해 추상적인 개념만 가지고 있거나 부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전체를 인지한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이는 곧, 자신의 지식수준에 대한 부족한 인지능력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맞더라도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지 못하는 더닝크루거 현상에 빠지기 쉽다. 그러나 반대로, 인지과정에 있어서 자신이 제대로 알고 있거나 혹은 부족한 지식에 대하여 충분히 자각하고 스스로 그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결하며 학습과정을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정신작용을 메타인지라고 한다. 즉, 자신의 인지 과정에 대해 한 차원 높은 시각으로 관찰 · 발견 · 통제하는 상위인지 능력인 것이다. .. 2021. 7. 23.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 Kruger effect) 무지는 지식보다 더 확신을 하게 한다 - 찰스 다윈 얕은 지식으로 잘 알지 못하면서 요란하게 떠들어대는 사람을 보고 우리는 '빈 수레가 요란하다' 라고 말한다. 어떤 사실에 대해 아는 것이 없으면 자신감도 없지만, 조금이라도 알게 되면 그 지식이 전부인 것으로 생각하고 섣부른 판단을 하는 것이다. 그 판단이 단편적이라 부정확한 것인지 확인도 못한 채 결론에 다다르면서 결국 자신의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한다. 이렇게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제대로 된 이해 없이 잘못된 결정을 내려 부정적인 결과에 도달하더라도 자신의 오류를 인지하지 못하는 현상을 더닝 크루거(Dunning Kruger) 효과라고 한다. 이는 인지편향의 일종으로 잘못된 결정을 내린 무능력자는 결국 자신의 무능에 대한 판단능력조차 없어 그 실수를 .. 2021. 7. 18.
프루스트 현상(Proust) 냄새로 기억하다 오래전 호주 시드니 번화가에 있는 카페에서 일 한 적이 있다. 시드니에는 카페들이 무수히 몰려있었는데, 카페에 가기 위해 매일 새벽 5시쯤에 일어나 6시까지 카페에 도착할때 쯤이면 이미 아침 오픈 준비로 많은 카페가 커피 향을 내고 있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커피를 좋아하지도 않았고 원두 향이 어떤 것인지 제대로 알 수도 없을 때였다. 그러나, 수개월을 아침 출근길 사람들에게 내어줄 원두와 갓 구워낸 빵 냄새 속에서 지내면서 처음의 낯설었던 냄새도 친숙하게 되었다. 그렇게 한국에 돌아오고 몇 년이 지났을까. 백화점을 갔는데 갑자기 몇 년 전 호주 생활이 마구 생각나기 시작했다. 평소 카페에 갔을 때는 맡을 수 없었던 그리운 옛 냄새가 내 후각을 자극하며 나를 시드니의 추억.. 2021. 7. 17.
모아레 현상(Moire) 영상 속의 이상한 줄무늬 TV나 사진을 보다보면 기다란 줄무늬가 겹쳐 특이한 물결무늬로 나타나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것을 모아레 또는 무아레(moire) 무늬라고 한다. 고대 중국에서 수입한 비단 중, 물결무늬를 띈 것을 프랑스어로 무아레 실크라고 불렀는데, 이 무늬가 마치 무아레 실크와 닮았다하여 모아레 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아레 현상은 빛의 파장에 따른 간섭현상의 일종으로, 진동수가 비슷한 두 개의 파동이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그 폭이 일정한 주기로 나타나게 되어 생기게 된다. 이 현상은 영상 촬영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따라서, 영상제작자들은 출연자가 가급적 가늘고 긴 줄무늬나 일정한 간격의 기다란 패턴을 가진 옷을 입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 모아레 현상은 영상 뿐 아니라 우리 주.. 2021. 7.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