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탈4

#7.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식중독(Food Poisoning) #7.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 진료과: 감염내과, 소화기내과, 소아청소년과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은 사계절 모두 발생할 수 있지만, 식중독을 일으키는 다른 인균이나 물질이 대체적으로 온도가 올라가는 봄 · 여름인데 반해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은 겨울에도 발생하여 겨울철 식중독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6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거나 낮은 온도에서도 활발하게 움직이는 등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살아남고 일반 수돗물 염소 농도에서도 저항하며, 소량의 바이러스만 있어도 쉽게 감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성이 높다. 추운 겨울에 식중독? 원인 노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구토물이나 분변이 외부환경으로 배출되면서 지하수 · 연안 해수 등을 오염시키고, 이렇.. 2021. 7. 22.
#6. 보툴리누스균 식중독 식중독(Food Poisoning) #6. 보툴리누스균에 의한 식중독 진료과: 가정의학과 보툴리누스균은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혐기성에, 극한의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포자를 형성하는 균이다. 자연계 어디에서나 발견되며 포자형태로 존재하다가, 저산 또는 혐기성 등의 특정한 조건에서 증식하게 된다. 이 때, 신경조직을 마비시키고 파괴하는 보툴리눔이라는 강력한 독소를 생성하여 보툴리눔 중독증을 유발하게 된다. 보톡스(Botox)라고도 불리며, 극미량을 사용하면 국소적으로 근육을 마비시킬 수 있어 근육계 질환의 치료나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통조림 캔이 부풀었다면 원인 토양과 바다 및 호수 등 어디에나 아포형태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농수산물 등 대부분의 식재료에서 보툴리누스균을 포함할 .. 2021. 7. 21.
#2. 장염비브리오균 식중독 식중독(Food Poisoning) #2. 장염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 진료과: 가정의학과 비브리오균에는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이하 장염비브리오균)와 비브리오 콜레라균이 있는데, 이 중 장염비브리오균에 의해 식중독이 발생한다. 바닷물과 갯벌에 분포하는 장염비브리오균은 수온이 20˚C가 넘으면 활발하게 증식하고 5˚C 이하에서는 증식이 불가능하다. 날 더운 날, 어패류를 날 것으로 먹을 때 원인 장염비브리오균은 해수에 분포하여 6월에서 10월 사이, 날이 따뜻할 때 활발하게 증식해 어패류를 오염시키는데 주로 생선이나 굴, 낙지, 조개등을 날 것으로 먹었을 때, 식중독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생선이나 조개의 껍질, 내장, 아가미 등에 있다가 조리 과정에서 회를 오염시키고 냉장고, 도마, 행주, 칼 등 .. 2021. 6. 24.
#1. 포도상구균 식중독 식중독(Food Poisoning) #1.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 진료과: 가정의학과 살모넬라 및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다음으로 흔히 발생하는 식중독으로, 가장 대표적인 화농균인 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이다. 우리 몸의 피부와 창자에 있다. 끓여도 파괴되지 않는 독소 원인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황색포도상구균이, 음식을 조리한 사람의 손이나 코 점막, 상처 부위 또는 조리기구 등을 통해, 실온에 보관중이던 음식에서 증식하고, 그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식중독을 일으키게 된다. 온도와 습도가 높을 때 증식하기 쉬우며,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증식하기 때문에 유의해야한다. 신선하게 보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조리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소풍이나 야유회 등의 음식물 섭취 후 흔하게 발생한다. 증상 황.. 2021. 6. 23.
반응형